본문 바로가기
동네사건사고

상주 추모공원 어떻게 되가는가.

- 3년째 제자리..해결방안은 없는가 - 문경시와 갈등의 골 깊어져 상주시가 2021년부터 추진해 오던 ‘상주공설추모공원’조성사업이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간 상생 모델로 평가 받아 왔던 상주 문경 두 지역이 추모공원 갈등으로, 관과 시민, 지자체와 지자체 간 소통과 이해 부족으로 공감대 형성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상주시는 함창읍 나한리 산12-7번지 일원 9만여㎡부지에 200여 억원을 들여 수목장 등 자연장지 1만2천기, 봉안당1식(1만기) 등을 갖춘 추모공원 조성을 2027년 완공계획으로 추진하였다. 화장장과 매장식 묘지 조성계획은 없지만 사업 부지가 문경 시내와는 가까운 거리에 있고, 사전에 문경시와의 협의가 없었다는게 갈등의 원인이 됐다. 상주시의 지방재정투자심사 요청을 받은 행정안전부도 지난해 3월 문경시와 협의 절차를 이행하라는 재검토 결정을 내렸다. 상주와 문경시는 민간실무협의회까지 구성해 제3의 부지 선정을 위한 협의에 나서, 은척면과 농암면을 검토하였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였다. 경상북도는 지자체의 요청이 없더라도 공동장사시설협의회를 구성해 중재할 수 있는 조례까지 갖추고 있다. '공동장사 시설 협의회'는 행정부지사가 위원장을 맡고 상주와 문경시의 부시장, 주민대표 각각 2명, 도의회 추천 인사, 그리고 장사 전문가 등 모두 11명으로 구성된다. 상주시는 공동장사시설협의회를 구성해달라며 경상북도에 공식 요청했다. 문경시 역시 협의회 구성을 굳이 거부하지 않겠지만, 반대 입장 표명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도내 타 자치단체의 모범사례를 보면, 경주시는 추모공원건립에 극심한 주민반대를 지속적 대화와 설득을 통해 해소 하였다. 포항시는 구룡포 등 7곳이 공모 참여하여 사업비 461억+α로 장사·화장·봉안시설 등 조성목적으로, 해당읍면 최대 80억원 지원키로 하고 2028년 12월 공원 개원 예정이라고 밝혔다. 상주시의 해묵은 숙원인 ‘추모공원’조성사업은 과연 어떻게 될것인가. 상주시의 현재 화장율은 95%를 상회하지만 인근 구미 선산등 납골당을 찾아가는 실정이다.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시점에 죽어서 타향 살이 해야 하는 서글픈 상주의 현실이다. 2020년 상주시는 추모공원사업 공모에 들어가며 20억원의 인센티브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공모 참여 지역은 함창읍 나한리 한곳 뿐이었다. 최근 화장시설과 봉안시설이 한곳에 있는 추세를 볼 때, 당초부터 병성동 ‘승천원’ 주변 시유림을 잘 활용하는 공격적인 사업추진이 아쉬웠다는 얘기가 많이 나온다. 상주시의 핵심추진 사업인 ‘추모공원’조성사업이, 지금이라도 경상북도에 적극적인 중재를 요구 한다던지, 아니면 제3의 장소 물색등의 대안이 시급히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출처 : 상주포커스(http://www.sjfocus.kr)

조회 298
댓글 정렬
아직 댓글이 없어요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당근에서 가까운 이웃과 함께해요.
지금 바로 다운로드하기
Download on the App StoreGet it on Google Play